ⓒ
AMD의 퓨전(Fusion) APU란 하나의 칩에 서로 전혀 다른 구조의 프로세서 코어와 그래픽 코어를 탑재한 것이다. 즉 CPU와 GPU가 하나의 칩에 통합한 프로세서가 AMD 퓨전 APU인 것이다. AMD의 경쟁사인 인텔도 2세대 코어 프로세서인 샌디브릿지에 그래픽 코어를 통합시킨 바 있다.
이런 CPU와 GPU가 통합되는 이유는 역시나 비용문제 때문이다. 많은 게이밍 인구가 있고 고사양의 PC도 힘들게 하는 많은 SW가 있지만 대부분의 유저들에게 필요한 것은 괜찮은 비용의 괜찮은 성능의 PC이기 때문이다. 이런 양사의 정책은 꽤 훌륭한 것으로 많은 사무용 PC들이 이들 제품으로 대체가 됐다.
당연하게도 이런 제품들은 지금까진 많은 게이머들에겐 안중에도 없는 제품이었다. 하지만 최근 기술의 발전과 많은 유저들의 사양을 고려해야 하는 온라인 게임들의 득세로 인해 이러한 경향이 서서히 바뀌어 가고 있다. 그래서 최신 APU 기술의 총아라고 할 수 있는 AMD A6-3500(라노)의 전체 및 게임 성능을 알아봤으며, 테스트에 사용된 사양은 아래와 같다.
■ 테스트 PC 사양
- CPU: AMD A6-3500 (2.4GHz)
- 메인보드: MSI A75MA-G55
- 램: Team Group DDR3 8GB TED 38G 1600C 11BK
- HDD: Seagate Momentus 750GB
↑↑ AMD A6 3500 의 GPU-Z, CPU-Z 결과
ⓒ
AMD A6 3500은 AMD의 데스크톱용 APU 중 최초의 트리플 코어 제품으로 TDP는 65W 이며, GPU코어는 320개의 스트림프로세서를 갖춘 AMD Radeon HD 6530D를 통합했다. 3코어의 동작 클록은 정격일 경우 2.1GHz이며 지금까지의 데스크톱 라노에서 지원하지 않았던 터보 코어로 작동할 경우 2.4GHz까지 동작한다.
↑↑ 윈도우즈 시스템 체험지수
ⓒ
AMD A6 3500 전체 시스템의 윈도우7 체험지수 점수이다. 7.9 만점 기준으로 일반 그래픽 점수는 낮은 편이나(4.9), 프로세서(6.3)나 게임 그래픽 점수(6.3)가 생각보다는 높아 게임에서는 꽤 좋은 성능이 나올 것을 예상할 수 있었다.
↑↑ Oh! (Jpn Ver. Girls' Generation 1080P) 캡쳐
ⓒ
↑↑ Sexy Love(Drama ver. T-ara, 1080 P) 캡쳐
ⓒ
먼저 일반적인 PC 사용환경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는 동영상 구동을 테스트해 봤다. 사용된 MV 동영상은 ‘Sexy Love’(Drama ver. T-ara, 1080 P)와 ‘Oh!’(Jpn Ver. Girls' Generation 1080P)이다. 2가지 영상모두 1GB가 넘어가는 고화질 영상이었으나, 일반적인 전체화면 구동이나 키보드를 이용한 화면 이동에서도 음향과 영상 모두 문제없이 정상적으로 구동이 됐다.
↑↑ 3D MARK 11 퍼포먼스 벤치마크 결과. 참고로 엔트리 벤치 점수는 1059 점 이었다.
ⓒ
위 사진은 시스템 및 그래픽 성능 테스트에 자주 사용되는 ‘3D MARK 11’ 퍼포먼스 레벨 벤치마크 결과이다. 고사양 PC에 비하면 낮은 점수인 것은 사실이지만 AMD A6 3500의 성격 상 낮은 수치는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비슷한 수치의 경쟁사 CPU로는 i5 520, 셀러론 G530 등이 있다.
ⓒ
위는 최근 TV 광고도 진행하고 있는 신흥 보드게임의 강자 ‘모두의 마블’ 테스트 화면이다. 다른 보드게임에 비해서 그래픽소스도 많고, 이펙트도 화려한 편이었지만, 예상대로 렉이나 느려짐 등은 느낄 수 없었다. 최근 많은 게임들이 웹 및 보드 형태로 출시되는 것을 감안할 때 이런 류의 게임에서 AMD A6 3500의 성능은 충분하다 못해 넘친다고 할 수 있다.
ⓒ
최근 많은 사용자층을 확보하고 있는 LoL을 테스트 해봤다. LoL의 경우 그래픽 옵션을 매우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는데, 그래픽옵션(높음), 그림자(높음)으로 할 경우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34~38프레임이 나오지만 미니언이 많아지거나 한타 시에는 26~30 프레임 정도가 나왔다. 나쁘지 않은 수치이긴 하지만 여러 가지 상황이 겹칠 경우 렉이 걸릴 수도 있어 추천하기는 어려운 옵션이다.
그래픽 옵션(높음), 그림자(중간)으로 할 경우 일반 상황에서 42~46프레임이, 한타 시에도 33~39 프레임 정도가 나왔다. 일반적으로 30프레임 정도가 인간의 눈이 구분하는 최소한의 선이고, 프레임 드랍으로 인한 렉이 발생하지 않는 수준이기 때문에 AMD A6 3500의 최적의 그래픽 옵션이라고 할 수 있다.
ⓒ
솔직히 블레이드&소울이나 테라 등의 고사양 게임을 즐긴다면 AMD A6 3500은 적합한 제품이 아니며, 고가의 상급 그래픽 카드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모든 게임들이 고사양만을 추구하는 것은 아니며, 온라인 게임의 특성 상 많은 시스템 사양을 고려해야 하므로 AMD A6 3500에서 구동하기에 힘겨운 게임이 그리 많은 것도 아니다. 그리고 위 사진에서 알 수 있듯 성능대비 가격이 바로 AMD A6 3500이 오랫동안 많은 사용자들에게 사랑을 받고 있는 또 다른 이유이다.
박창근 zzadoc@itmaeil.com
- Copyrights ⓒ IT매일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C 이야기 > IT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피니티 M, 美서 최고 안전 등급 획득 (0) | 2012.09.23 |
---|---|
지금 다나와에서는 등산브랜드 대전이 진행중! (0) | 2012.09.23 |
아이폰 5, 모서리 도색이 벗겨진다? (0) | 2012.09.23 |
17만원 갤럭시S3 '개통지연' 이통사 '난 몰라' (0) | 2012.09.23 |
MS의 새 OS 윈도우8 ‘달라져도 너무 달라졌다’ (0) | 2012.09.23 |